문제를 직시하는 것, 항상 정면으로 대하는 것, 그것이 상황을 밀고 나가는 방법이다. 용감하게 맞서라. -조셉 콘라드 심진여(心眞如)라는 것은 곧 일버계대총상법문체(一法界大總相法門體)이다. 이른바 심성(心性)은 불생불멸인데 일체의 모든 법이 오로지 망령된 생각(妄念)에 의지하여 차별이 있게 된다. 만일 마음의 망령된 생각을 여의면 곧 모든 경계의 모습들이 없어진다. 이런 까닭에 일체법(一切法)은 본래부터 언설상(言舌相)을 여의었고 명(名)자(字)상을 여의었고 심연상(心緣相)을 여의어서 결국 평등하여 변이(變異)가 없고 파괴할 수 없는 일심(一心)일 뿐이기 때문에 진여(眞如)라 이름한다. 모든 언설은 가명(假名)이어서 그 실체가 없는 것이니 단지 망령된 생각을 따른 것일지언정 실체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. ... 마땅히 알라! 일체법은 설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진여(眞如)라 이름지은 것이다. -원효 더 이상 술잔에 손을 대지 말라. 가슴 속속들이 병들게 한다. 술의 향기는 죽음의 사자의 입김이요, 술잔 속에 나타나는 빛은 죽음의 사자의 흉한 눈초리다. 조심하라, 질병과 슬픔과 근심은 모두 술잔 속에 있나니. -롱펠로 져주는 척, 이해해 주는 척, 그것이 바로 사랑의 테크닉 중 하나이다. -김상민 저타르·저니코틴 담배를 피운다고 해도 그 이전에 습관이 된 사람은 니코틴의 기존 섭취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담배를 더 많이 피우게 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. -신준식 평생 동안 큰 돈을 가져 보지 못한 어떤 사람이 크건 작건 간에 스스로의 노력으로 부를 이룬다면 부자로 태어난 사람보다 100배쯤 더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. -어니 J. 젤린스키 희로애락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중(中)이라 이르고, 희로애락이 나타나 절도에 맞는 것을 화(和)라고 한다. 중(中)이란 천하의 대본(大本)이며 화(和)란 천하에 통달하는 도(道)이다. -자사 오늘의 영단어 - nominal : 이름만의, 명목상의, 액면상의중근동에서는 아침은 커피나 녹차밖에 마시지 않는다. 그리고 기타의 사정을 생각해 보면, 하루 두 끼라고 하는 곳이 세계적으로 많다. -나오미치(일본 민속박물관 조교수) [식의 문화] 기아(飢餓)와 무지(無知)는 근대 범죄의 어버이다. -오스카 와일드